단체협약의 해석요청제도에 대한 노조법상 쟁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22:35
본문
Download :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제도에 대한 노조법상 쟁점.hwp
3. 노동위원회에 신청방법
단협 내용과 당사자의 의견 기재한 서면으로 신청한다.
4. 노동위원회의 견해제시
의견제시 요청 받은 때에는 그날로부터 30일내 명확한 견해제시가 있어야 하며, 이러한 결정은 심판담당공익위원 3인으로 구성된 심판위원회에서 이루어진다.
2. 신청권자
노사 쌍방 또는 단협에 의한 일방이 신청권자가 되며, 당해 단협 체결 당사자여야 하고 단체교섭권 없는 지부 등 내부 조직에 불과한 경우 당사자적격이 없다.
Ⅱ. 단체협약 해석요청제도 절차
1. 법규정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은 노사 쌍방 또는 단협에 정하는 바에 따라 일방이 견해제시 요청시 이루어지며, 노동위원회에서는 30일내 명확한 견해를 제시하여야 한다.
Download :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제도에 대한 노조법상 쟁점.hwp( 77 )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제도에 대한 노조법상 쟁점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제도에 대한 노조법상 쟁점
순서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제도에 대한 노조법상 쟁점 ,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제도에 대한 노조법상 쟁점법학행정레포트 , 단체협약 해석요청제도 노조법상 쟁점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단체협약,해석요청제도,노조법상,쟁점,법학행정,레포트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Ⅰ. 들어가며
1. 단체협약의 해석
단체협약의 해석이란 단체협약의 의미내용을 확정하는 과정으로 현행 노조법 34조에서 단협 해석, 이행방법에 당사자 다툼이 있는 경우 노동위에 해석에 따라 의미내용을 확정하도록 하고 있다
2. 노동쟁의의 槪念變化
근로조건에 관한 주장불일치에서 근로조건 결정에 관한 주장불일치로 槪念을 구체화하여 노동쟁의의 대상을 이익분쟁으로 한정하였다.
3. 권리분쟁의 해결방법
이익분쟁의 경우 쟁의로 해결할 수 있으나, 권리분쟁은 쟁의 대상이 아니며 따라서 사법적 구제로 해결해야 한다.
Ⅱ. 단체협약 해석요청제도 절차
1. 법규정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은 노사 쌍방 또는 단협에 정하는 바에 따라 일방이 견해제시 요청시 이루어지며, 노동위원회에서는 30일내 ...
단체협약의 해석요청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Ⅰ. 들어가며
1. 단체협약의 해석
단체협약의 해석이란 단체협약의 의미내용을 확정하는 과정으로 현행 노조법 34조에서 단협 해석, 이행방법에 당사자 다툼이 있는 경우 노동위에 해석에 따라 의미내용을 확정하도록 하고 있다
2. 노동쟁의의 槪念變化
근로조건에 관한 주장불일치에서 근로조건 결정에 관한 주장불일치로 槪念을 구체화하여 노동쟁의의 대상을 이익분쟁으로 한정하였다.
Ⅲ. 노동위원회의 단체협약 해석
1. 노동위원회의 견해제시
노동위원회는 명확한 견해를 제시하여야 하는바 이는 사회통념상 당사자 사이에 서로 납득하여 해결될 수 있는 견해를 의미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소송비용, 시간소요 등 어려움이 따르는 관계로 노동위 유권해석을 통해 신속한 해결을 도모할 필요 있어 제도를 도입하였다.
2. 단체협약의 해석방법
1) 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판단
단협 등 처분문서는 그 성립의 진정함이 인정되는 이상 그 기재내용을 부정할 만한 분명하고 수긍할 수 있는 반증이 없는 한 기재내용에 의해 그 문서에…(skip)
다.
3. 권리분쟁의 해결방법
이익분쟁의 경우 쟁의로 해결할 수 있으나, 권리분쟁은 쟁의 대상이 아니며 따라서 사법적 구제로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소송비용, 시간소요 등 어려움이 따르는 관계로 노동위 유권해석을 통해 신속한 해결을 도모할 필요 있어 제도를 도입하였다.